전국 일본뇌염 경보 예방접종 시기
일본뇌염을 옮기는 작은빨간집모기의 활동이 활발해져, 감염 위험이 높아졌습니다. 이에 질병관리청은 2024년 7월 25일자로 전국에 일본뇌염 경보를 발령했습니다.
일본뇌염 매개모기 감시체계 운영결과, 경남과 전남 지역에서 전체 모기의 50% 이상이 일본뇌염 매개모기로 확인되었다고 합니다.
가벼운증상에서 부터 심하면 뇌염으로 진행되어 다양한 신경계 합병증까지 겪을 수 있어 위험한 일본뇌염, 일본뇌염에 걸리면 특별한 치료방법이 없으므로 백신접종을 통한 예방이 최선입니다.
국가예방접종 지원대상 및 권고대상 확인해 보시고, 일정에 맞춰 꼭 접종할 것을 권고드립니다.
일본뇌염이란?
일본뇌염은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질병입니다. 주로 발열과 두통 같은 가벼운 증상이 나타나지만, 심하면 뇌염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뇌염으로 진행되면 고열, 발작, 목 경직, 착란, 경련, 마비 등의 심각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 경우 20~30%는 사망할 수 있습니다. 또한, 회복되더라도 환자의 30~50%는 다양한 신경계 합병증을 겪을 수 있습니다.
예방접종 시기, 일정
일본뇌염 예방접종 권고대상
☑ 2011년 이후 출생한 아이들: 국가예방접종 지원대상으로, 표준 예방접종 일정에 맞춰 접종.
☑ 고위험군 성인: 논이나 돼지 축사 근처에 사는 사람, 일본뇌염 위험국가를 여행하는 사람 등.
☑ 일본뇌염 위험국가 : 방글라데시, 부탄, 인도, 네팔, 파키스탄, 스리랑카, 브루나이, 미얀마,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라오스,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동티모르, 베트남, 중국, 일본, 대만, 러시아, 호주, 파푸아뉴기니 등
일본뇌염 예방접종 방법
예방접종은 가까운 보건소나 병원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 접종 일정과 자세한 내용은 질병관리청 홈페이지나 예방접종 도우미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문의처
☑ 질병관리청 감염병정책국 인수공통감염병관리과: 043-719-7175
☑ 감염병진단분석국 매개체분석과: 043-719-8565
☑ 의료안전예방국 예방접종관리과: 043-719-8365